[박상율] 제주도 해양생태보호구역인 토끼섬 해역 내 자생하는 잘피, 거머리말 생육지의 현황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(2019-2021)
토끼섬 수중광량 데이터[강정찬] 제주 해조류 생물권 보전 전략수립을 위한 생태환경 장기모니터링 및 통합DB 구축(2019-2021)
우도 해조류 정량 및 정성 자료 (2019~2020)[김태균] 해빙과 빙붕의 물리학적 상호작용이 결합된 수치모델 구축: 빙붕 내 해양순환과 빙붕 용융 특성의 역학적 관계(2021)
테라노바 만 모델 재연 결과-2D[김태균] 해빙과 빙붕의 물리학적 상호작용이 결합된 수치모델 구축: 빙붕 내 해양순환과 빙붕 용융 특성의 역학적 관계(2021)
테라노바 만 모델 재연 결과-3D[김진호] 유해 미세조류의 공생세균 군집 분석 기반연구(2021)
외래 유입 미세조류의 공생세균 분석 기반연구[이병걸] NDSI와 LST를 활용한 서카라고람지역(CKNP)분지의 빙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(2021)
대한민국기상관측자료[오홍식] 제주오름의 DB 구축을 위한 생물상 모니터링 연구(2020-2021)
제주 10개지역 동부오름 포유류, 양서파충류상[강정찬] 제주 해조류 생물권 보전 전략수립을 위한 생태환경 장기모니터링 및 통합DB 구축(2019-2021)
[도감]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