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박경순] SPE와 앱타머를 활용한 초고감도 무표지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의 개발(2021)
Aptamer 기반 무표지 전기화학적트롬빈 센서 개발[김정만] 미생물 유전체 분석 기반 제주지역 내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(2020-2021)
제주 양식장 배출수 유래 미생물 유전체 데이터[강인혜] 지방축적과 근손실의 상호작용 연구 및 이를 조절할 제주 생물자원 탐색(2021)
[특허] 우도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[박상율] 제주도 해양생태보호구역인 토끼섬 해역 내 자생하는 잘피, 거머리말 생육지의 현황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(2019-2021)
토끼섬 수온 데이터[박상율] 제주도 해양생태보호구역인 토끼섬 해역 내 자생하는 잘피, 거머리말 생육지의 현황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(2019-2021)
토끼섬 수중광량 데이터[강정찬] 제주 해조류 생물권 보전 전략수립을 위한 생태환경 장기모니터링 및 통합DB 구축(2019-2021)
우도 해조류 정량 및 정성 자료 (2019~2020)[김태균] 해빙과 빙붕의 물리학적 상호작용이 결합된 수치모델 구축: 빙붕 내 해양순환과 빙붕 용융 특성의 역학적 관계(2021)
테라노바 만 모델 재연 결과-2D[김태균] 해빙과 빙붕의 물리학적 상호작용이 결합된 수치모델 구축: 빙붕 내 해양순환과 빙붕 용융 특성의 역학적 관계(2021)
테라노바 만 모델 재연 결과-3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