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임종빈] 식욕 억제 호르몬 GLP-1 분비를 위한 제주 구멍 갈파래의 기능성 바이오 탄수화물로서의 활용(2022)
구멍 갈파래의 분자량 분포도 (molecular distribution)[임종빈] 식욕 억제 호르몬 GLP-1 분비를 위한 제주 구멍 갈파래의 기능성 바이오 탄수화물로서의 활용(2022)
구멍 갈파래의 호화 (gelatinization) 및 노화 (retrogradation)[임종빈] 식욕 억제 호르몬 GLP-1 분비를 위한 제주 구멍 갈파래의 기능성 바이오 탄수화물로서의 활용(2022)
구멍 갈파래의 소화 및 장내 미생물 이용률[고은주] 면역저하 만성질환 모델에서의 면역증강물질 소재 개발(2022)
2022 해조류 면역세포 cytokine ELISA dataset[고은주] 면역저하 만성질환 모델에서의 면역증강물질 소재 개발(2022)
2022 마우스 무게 및 생존율 dataset(천식 마우스 인플루엔자 감염)[박경순] 하이드로겔(Hydrogel)과 촉매반응을 활용한 초고감도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의 개발(2022)
하이드로겔 기반 전기화학적 Ag 증착 및 H2O2 검출 센서 개발[손영옥] 괭생이모자반 기반 유효활성 성분의 호흡기 손상 억제 기전구명 및 NGS 생물학적 통합분석을 통한 호흡기손상 바이오마커 개발 및 표적인자 발굴(2022)
연골세포에서 괭생이모자반의 효과[송우진] 중동물 만성질환 모델 구축 및 제주 천연자원 효능 평가(2022)
중동물 (개) 지방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항염증 효능 평가[송우진] 중동물 만성질환 모델 구축 및 제주 천연자원 효능 평가(2022)
자연적으로 종양이 발생한 중동물 (개)의 생체외 모델 구축관련 데이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