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정의만] 제주 천연자원을 이용한 노화세포 치료제 개발(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제주 천연자원을 이용한 노화세포 치료제 개발(정의만)[김광일]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주변해역 어업자원 영향분석(2020-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주변해역 어업자원 영향분석(김광일)[배지영] 제주도내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탐구를 통한 유용 소재 개발(2020-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제주도내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탐구를 통한 유용 소재 개발(배지영)[팽동국] 제주 남방큰돌고래 주요 발견지역에서 수중음향 모니터링(2019-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제주 남방큰돌고래 주요 발견지역에서 수중음향 모니터링(팽동국)[배세원] PEG 하이드로겔 기반 바이오센서 개발 연구(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PEG 하이드로겔 기반 바이오센서 개발 연구(배세원)[유상욱] 어떤 Self-organizing 모델에 대한 최적제어(2020-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어떤 Self-organizing 모델에 대한 최적제어(유상욱)[이형우]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중광대 생태계 해조류 생물다양성 발굴 및 분포맵 작성(2019-2020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중광대 생태계 해조류 생물다양성 발굴 및 분포맵 작성(이형우)[이준백] 제주 연안 및 동중국해의 식물플랑크톤 도감(2019-2020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제주 연안 및 동중국해의 식물플랑크톤 도감(이준백)[오홍식] 제주오름의 DB 구축을 위한 생물상 모니터링 연구(2020-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제주오름의 DB 구축을 위한 생물상 모니터링 연구(오홍식)[김정만] 미생물 유전체 분석 기반 제주지역 내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(2020-2021)
[연구자 영상데이터] 미생물 유전체 분석 기반 제주지역 내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(김정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