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율운영중점연구소지원사업(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)
제주 생물권 보전 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다양성 장기모니터링
강정찬
2022.03.01-2025.02.28
2022.03.01-2023.02.28
제주시, 서귀포시, 성산, 모슬포 등 4개 거점 지역의 조하대 해조류 군락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조사 분석하고, 이 과정에서 수집되는 해수 시료를 각 분야 전문가와 공동연구를 통해, 해조류 군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특정하여, 제주도 청정 해역 유지를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며, 제주 해조류 통합 DB를 향상함.
-
해조류 정량 data / 엑셀 / 각 조사지역 및 정점별 수심, 계절에 따른 해조류 생물량 / raw
해조류 정성 data / 엑셀 / 각 조사지역 및 정점별 수심, 계절에 따른 출현 해조류 종 정보 / raw
해양 물리 정보 / 엑셀 / 각 거점 조사지역의 조위관측소에서 제공 받은 일별 수온, 파고, 염도 및 조위 자료 / raw
해양 화학 정보 / 엑셀 / 각 거점 조사지역에서 수심별로 수집된 해수시료의 화학적 조성 자료(공동연구)/ processed
해양 플랑크톤 정보 / 엑셀 / 각 거점 조사지역에서 수심별로 수집된 해수시료의 플랑크톤 조성 자료(공동연구)/ processed
기능형군 분석 / 엑셀, 그래프 / 7가지 해조류 기능형군의 지역별 수심별 피복도를 통한 해조류 서식환경 평가 / result
갯녹음 단계 분석 / 엑셀 / 유·무절산호말류와 연질해조류 (soft-algae) 피복도에 의한 해조류 서식환경 평가 / result
해조류 군락-해양환경 비교 / 엑셀, 그래프 / 통계분석을 통한 해조류 군집상태와 해양환경 요소 간의 연관성 분석 / result
해조류 형태 이미지 / 이미지 / 각 거점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해조류 종별 생태 및 형태 이미지 / processed
기재문 / 문서 / 각 거점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해조류 종별 형태 기재 및 서식지 유형, 이용현황, 자원성 설명 / processed
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삭플랫폼에서 관리, 저장 및 장기 보존함
논문 출판 후 공개 /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삭플랫폼에서 시행 / 해조류 정량 및 해양환경 분석 자료는 논문 출판 후, 해조류 DB는 전자도감 또는 도감 출판 후 공개 가능하며 필요시 책임연구자와 기초과학연구소의 협의에 의해 제한적으로 공유 가능함.